디자인그룹메카

환경디자인은 기능적이고 미적으로 쾌적하며 지속 가능한 공간을 만드는데 초점을 맞춘 디자인 분야입니다. 여기에는 건축 디자인의 컨셉 설계부터 인테리어 디자인, 브랜딩 디자인 등이 포함됩니다. 환경디자인은 공간을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사람과 환경, 자연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를 만드는 것이며, 사람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궁극적인 목표가 있습니다.

메카의 환경디자인은 공간의 성격과 목적에 맞는 컨셉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분야별로 공간의 아이덴티티를 강화시켜나가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면에서 입체적 공간까지 정체성이 느껴지며 커뮤니케이션 될 수 있도록 완성합니다.


브랜딩 디자인
환경 디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브랜딩 디자인은 공간에 대한 시각적 정체성을 만들어냄으로써 그곳의 고유한 특성과 개성을 확립하는 역할을 한다. 브랜딩 디자인은 공간을 위한 독특하고 기억에 남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그래픽, 타이포그래피 및 다양한 시각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공간의 목적과 가치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대상 관객이 쉽고도 매력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인테리어 디자인
창의적이고 기능적인 공간을 만들어내는 인테리어 디자인은 이를 위해 재료, 마감재, 조명, 가구 및 다양한 요소의 선택이 필수적입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들은 색상이론, 공간 계획, 인체 공학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 도구를 가지고 사용자의 마음을 사로잡으면서도 효과적으로 기능하는 공간을 만듭니다.


사인 디자인
모든 사용자를 고려하는 사인 디자인은 공간의 정보 전달을 위해 눈에 잘 띄면서도 주변과 어우러지도록 하기 위해 그 속에서 사용자가 디자인을 느끼며 함께 호흡하도록 섬세하게 접근이 필요합니다. 필요한 정보와 공간의 시각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사인디자인은 사용자의 긍정적인 공간 경험을 이끌어냅니다.
DESIGN GROUP M​ECCA

Environmental design is a field of design that focuses on creating a functional, aesthetically pleasing, and sustainable space. This includes interior design, architectural design, and branding design. The goal of environmental design is to create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he built environment, and nature, along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who use space.

Branding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al design because it helps to establish its own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ty by creating a visual identity for space. Branding design involves the use of graphics, typography, and other visual elements to create unique and memorable images for space. This image should accurately reflect the purpose, value, and mission of the space and be easily recognized by the target audience.

On the other hand, interior design is the process of forming the interior of a building to provide a healthier and more aesthetically pleasing environment for people who use space. This includes the selection of materials, finishes, lighting, furniture, and other elements to create a functional, comfortable and aesthetically pleasing environment. Interior designers use various design tools such as color theory, space planning, and ergonomics to create an attractive and functional space for users.

Architectural design is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constructing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This includes coordination of construction activities, as well as planning, specification and preparation of construction documents. Architects use various design elements such as form, space, light, and texture to create functional, safe, and aesthetically pleasing structures.

In conclusion, environmental design is a holistic approach to design that seeks to create a functional, aesthetically pleasing, and sustainable space. This creates a space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eople who use them, including the integration of branding, interior design, and architectural design. By creating a functional, comfortable, and aesthetically pleasing environment, environmental design contributes to the overall well-being of people and the environment.
PROCESS

01

Defining Identity

디자인은 대상을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합니다. 
대상의 고유한 정체성을 이해하고, 모든 대상에게 
매력적인 정체성을 찾아주는 것을 프로젝트의 목표로 합니다.


The journey starts with the understanding of 
what clients want to establish or want to achie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one's uniqueness,
our goal is to define the unique identity for the client.  

02

Visualizing Identity

대상의 본질을 어떻게 하면 가장 대상답게 표현 할 수 있을지, 대상의 정체성을 찾는 디자인 연구를 진행합니다. 
시각과 공간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전문적이며 심도있게
대상의 시각적 정체성을 연구합니다.

With thoughtful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 on the context of the identity, Visualizing Identity process proceeds with cosiderations about how to express the identity clearly and as most itself as possible in the visual language and form.

03

Realizing Identity

컨셉과 아이디어를 잘 실현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합니다. 보고, 만지고, 사용하고, 느끼는, 디자인을 경험하는 여러 요소가 하나의 목소리로 일관되고 조화를 이루도록 합니다.


At the end of the day, humans are physical beings who feel the world not just through the eye but through multiple senses and experiences based on those amalgam of senses. 
Therefore, the designed identity should convery one message not only visually but also by aligning with others harmoniously.
And we are here to make it sure to happen.
AWARDS
1990 -

청주시 디자인감사패 수상(청주시) 
구례군 디자인감사패 수상(구례군) 
시흥시 디자인감사패 수상(시흥시) 
영화진흥공사 디자인공로패 수상(영화진흥공사) 


2000 -

2002 FIFA 월드컵 통합 룩프로그램
- FIFA 월드컵조직위원회 위원장 표창장 수상(FIFA월드컵조직위원회)
- 서울 월드컵경기장
- 환경디자인부분 표창장 수상(문화관광부장관)

농촌진흥청
- 환경색채대상 우수상(한국색채학회) 
- 환경디자인 Good Design 수상(한국디자인진흥원) 

문화재금연안내
- 사인시스템 Good Design 수상(한국디자인진흥원) 

대구텍스타일컴플렉스
- CI 우수디자인 선정(한국디자인진흥원) 

옛 제주성 주변 정주공간 개선사업
- 지역공공디자인 시범사업 우수상 수상(행정안전부) 

서울메트로9호선 
- 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s 수상(미국 IDEA) 
- 색채계획 및 디자인 한국색채대상 최우수상 수상(한국색채학회) 

 
SRT 동탄역
- 환경색채대상 최우수상(한국색채학회)

9호선 디자인 설계
- 서울특별시 건설상 수상(서울시장) 

2010 -

KINTEX
- 색채계획 한국색채디자인 대상 수상(한국색채학회) 

남제주군 
- 디자인감사패 수상(남제주군)

한강공원
- 통합환경디자인 Public Design Gold 수상(독일 IF 국제디자인어워드) 
- 대한민국디자인대상 디자인공로부문 표창장 수상(국무총리) 
- 2010 GOOD DESIGN 시각디자인부문 우수디자인 선정(한국디자인진흥원)
- 국제공공디자인대상 Grand Prix 수상(한국공공디자인재단) 
- 대한민국공공디자인대상 최우수상 수상(한국공공디자인재단) 
- 대한민국 공공디자인 EXPO대상 최우수상 수상(문화관광부) 

알펜시아
- 환경색채가이드라인 한국색채대상 최우수상 수상(한국색채학회)
- CI 국제공공디자인대상 Junior Grand Prix 수상(한국공공디자인재단) 
- 서울 국제공공디자인대상 Junior Grand Prix 수상(한국공공디자인재단) 
- 2011 GOOD DESIGN 시각 부문 우수디자인 선정(한국디자인진흥원)  

S-Oil 사옥
- 색채디자인 매뉴얼 한국색채대상 우수상 수상(한국색채학회) 
- 도시디자인 대상 공로상 수상(송파구)  
- 2011 GOOD DESIGN 환경디자인 부문 우수디자인 선정(한국디자인진흥원)

서울메트로9호선
- 국제공공디자인대상 Junior Grand Prix 수상(한국공공디자인재단) 

가든파이브
- 공로상 수상(서울특별시장)

주중대한민국대사관
- 대한민국 주중대사관 디자인감사패 수상(주중대사관) 

2020 -

9호선 특화설계 한성백제역
- 서울특별시 건설상 수상 (서울시장) 



HISTORY OF PROJECTS
 
 
1990 -
통일연수원 환경디자인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environmental design/visual identity design

울산 성지맨션 색채계획
Ulsan seongji mansion
environmental color design

통신개발연구원 환경디자인
KISD institute environmental design

증권감독원 환경디자인
Finance supervisory service environmental design

서울시역사탐방로조성 환경디자인
Seoul history trail street environmental design
 
통일연수원 환경디자인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Education center for unification environmental design/visual identity design

울산 성지맨션 색채계획
Ulsan seong-ji mansion
environmental color design

통신개발연구원 환경디자인
KISD institute environmental design

증권감독원 환경디자인
Finance supervisory service environmental design

서울시역사탐방로조성 환경디자인
Seoul history trail street environmental design
2000 -
신공항철도 환경디자인
New airport railroad
environmental design

광진구민회관 환경디자인
Gwangjin-gu hall
environmental design

청주시 캐릭터 디자인
Cheongju city
character design

남제주군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South Jeju Province
visual identity design

서대전역사 색채계획
West Daejeon train station
environmental color design

동해시 표준시설물 가이드라인
Donghae city
design guideline / street furniture
 
월드컵몰 환경디자인
World cup mall
environmental design

국립공원 비주얼 아이덴티티
Korea national park
visual identity

송파구 도시디자인 가이드라인
Songpa-gu urban
design guideline

주중 한국대사관 환경디자인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China environmental design

7호선 연장선 색채계획
Metro line 7 extention line E.V
color design

알펜시아 통합디자인 컨설팅
Alpensia total design
consulting
2010 -
순천시 관광안내
사인시스템 디자인
Suncheon city touristinformation
sign system design

서울메트로9호선 3단계 통합환경디자인
Seoul metro 9 three degrees
environmental design

에쓰오일 사옥 사인시스템 디자인
S-oil office building
sign system design

옛 제주성 주변 정주공간 개선사업
Old Jeju fortress heritage
development design project

국가물산업클러스터 통합환경디자인
Korea water cluster
total environment design

울산병원 통합환경디자인
Ulsan medical center
total environment design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인테리어
GANGNAM INTERNATIONAL TRANSIT CENTER
Naming, Visual  Identity, environment design, street furniture
 
진관사 사찰음식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Jinkwansa temple
food brand identity design

새만금산업단지 통합환경디자인 가이드라인
Saemangeum industrial complex
environmental design guideline

DDP 정비구역 가로환경개선 마스터플랜
DDP area
environment development master plan project

서울한양도성 단절구간 연계성 회복을 위한 디자인
Seoul city wall
connectivity restoration design

강릉월화거리 비주얼 아이덴티티 디자인
Gangneung wolhwa street
visual identity design

파주 한울도서관 인테리어 디자인
Paju city Hanul Library  
environment design

지하철 환경개선 토탈디자인
Seoul metro
environmental improvement total design